-
"AI자동화, 고숙련 노동자에 더 큰 타격"직장 2025. 2. 14. 00:56
4일 학계에 따르면 한국경제학회 영문 학술지(KER)에 게재된 정용훈 고려대 교수의 논문 '생산자동화와 직업의 미래'에서는 생성형 AI의 급속한 발전이 고임금과 자본생산성이 높은 산업에서 인력을 우선적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됐다.기존 연구들이 AI가 저숙련 노동자부터 대체한 뒤 점차 고숙련 노동자의 일자리로 확장될 것이라고 예측한 것과 다른 결과다
실제로 한때 개발자 인력난이 심각했던 정보기술(IT) 업계는 최근 고용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IT 개발자 채용 공고는 14만847건으로 평년 대비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개발자 커뮤니티 OKKY에서도 최근 "개발자 취업시장이 문과 취업과 비슷해졌다"며 취업난을 호소하는 글이 넘쳐 난다.
(매일경제 2월 4일 내용 일부)
소견) 인공지능(AI) 발전으로 인해 저숙련 노동자보다 고숙련 노동자의 일자리가 먼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정용훈 고려대 교수의 논문 '생산자동화와 직업의 미래'에서는 생성형 AI의 급속한 발전이 고임금과 자본생산성이 높은 산업에서 인력을 우선적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됐다. 당연한 불가피한 대체입니다.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스로보테크 "로봇아웃소싱으로 인력부족 해결" (1) 2025.02.24 오가와 엡손 대표 "플라스틱 소재 재생 장비 개발한다" (1) 2025.02.18 “로봇 2년 쓰면 인건비 보다 저렴” (1) 2025.02.12 변기 만드는 日 TOTO, 반도체장비로 40년만에 잭팟 (1) 2025.02.10 제조업의 아웃소싱: 로봇공학과 자동화가 생산 라인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가? (1)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