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화 시대 로봇이 사람보다 더 사람다워지는 까닭은?라이프 2025. 4. 30. 00:51
그동안 로봇은 주로 산업 현장에서 힘들고 위험한 일을 사람 대신 시키는 데 쓰이곤 했습니다. 그러나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그래서 고령화 시대 돌봄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데 개발의 초점이 옮겨가고 있습니다.
주로 산업용 로봇을 만드는 데 맞춰져 있었던 연구·개발의 초점도 이제는 간호나 가사 등 서비스용 로봇 생산으로 옮겨가는 추세입니다. 특히, 저출생·고령화 사회에서 로봇의 쓰임새가 커질 전망입니다. [스가노 시게키 / 와세다대 교수 : 요양 시설에서 독립적으로 일하거나 돌봄을 제공하는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을 겁니다. 궁극적으로는 로봇과 인간이 공존하는 사회를 그리고 있습니다.] 다만, 돌봄 영역의 로봇에 인간의 따뜻함까지 탑재하는 건 숙제입니다.
(YTN 4월 20일 내용 일부)
소견)독일 자동차업체 메르세데스-벤츠가 생산 라인에 시범 도입한 휴머노이드 로봇입니다.인간의 동작을 모방하도록 설계돼, 드릴이나 렌치 같은 도구도 척척 사용합니다.기존의 공장 로봇들이 고정된 위치에서 작업하던 것과 달리, 이리저리 움직이며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요르게 부르저 / 메르세데스-벤츠 생산총괄 : 휴머노이드 로봇은 유연해서 조립 라인이나 특히 내부 물류, 품질 검사에 도입될 수 있습니다. 또한, 로봇을 이곳에서 저곳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로봇은 더 나아가 사람과 점점 비슷해지고 있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아이폰도 만드는데…왜 로봇이 나이키 운동화를 못 만들지 (1) 2025.05.02 제조업 경쟁력 핵심전략 떠오른 ‘AI’ (1) 2025.05.01 웨어러블 로봇 ‘윔 S’ 공개…위로보틱스, 사용자 중심 기술로 도약 (1) 2025.04.28 AI 로봇 청소기 두뇌는 '중국 천하' (1) 2025.04.27 “힘 닿는 데까지… 기술자는 은퇴 않죠” (1)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