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 디지털 트윈IT 2021. 10. 2. 00:16
가상세계(digital)에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동일하게 반영한 쌍둥이(twin)를 3D 모델로 구현하고, 이를 실제 사물과 실시간으로 동기화(sync)한 시뮬레이션을 거쳐 관제·분석·예측·최적화 등 해당 실제 사물에 대한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기술을 디지털 트윈이라고 한다. 최초의 디지털 트윈은 2012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우주 환경을 지상 센터에 구축하여 진행한 모의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2016년에는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이 세계 최초의 산업용 클라우드 기반 오픈 플랫폼인 '프레딕스(Predix)'를 발표하는 등 글로벌 기업들이 제품 생산 시 실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에서 하기 어려운 실험 대신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실험과정에서의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조업과 교통, 의료, 환경, 안전 등 여러 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다.
(영남일보 9월 15일 내용 일부)
소견)디지털 트윈은 현실에서 하기 어려운 실험 대신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실험과정에서의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팩토리 구축, 제조 산업의 디지털전환 (1) 2021.10.19 눈에 보이지 않는 결함까지 찾는다…AI로 제조 품질향상 UP (1) 2021.10.04 메타버스가 진정으로 우리 삶의 지평을 넓히려면 (2) 2021.09.29 자이솜, "스마트팩토리 DX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산업재해 감소, 매출상승 효과도 (1) 2021.09.25 안경 쓴 채로 사진 찍고 통화까지…페북 '스마트 안경' 가격은? (1) 202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