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산업혁명과 식품안전 전략 - CT/IoT 활용 스마트 HACCPIT 2022. 12. 19. 00:41
스마트 HACCP이란 HACCP 관리 체계에 ICT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HACCP 관리시스템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공장 내 전 CCP 공정의 기계 및 도구의 임베디드 시스템과 ICT 기술을 연계해 공정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문제 발생 시 즉시 개선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누적화된 데이터를 통해 공정 개선 및 기계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겠다.
향후에는 IoT를 통해 생육 및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 및 해석해 안전한 원료 생산 방법, 생산 효율성, 수확, 보관, 유통정보 및 위해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는 생산단계 Smart HACCP과 IoT 및 ICT를 이용해 유통관리 내용을 기록 및 수집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 및 해석해 소비자(구매자)에게 ICT를 이용한 모든 정보를 선택 또는 자동 제공하는 유통단계 Smart HACCP 또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스마트 HACCP + 스마트 팩토리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식품제조업체의 경쟁력과 식품안전관리를 한층 더 강화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푸드아이콘 2017년 11월 16일 내용 일부)소견)대부분의 식품제조업체는 생산직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생산직 인력은 평균 50대 이상으로 제품 생산과 동시에 중요관리점(CCP) 공정 모니터링과 한계기준 이탈 시 개선조치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전문 인력 포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 데이터, 어디까지 활용 가능한가 (1) 2022.12.25 디지털트윈으로 제조 상황을 실시간 확인한다 (1) 2022.12.23 초(超)불확실성, 산업 디지털 전환으로 극복해야 (2) 2022.12.02 'AI 유토피아' 결국 인간 손에 달렸다 (1) 2022.12.01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 AI 가속화…작업시간은 줄고 공정 정확도·생산량은 증가 (1) 202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