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유일 안마의자 생산기지…"자동화 기술로 품질 자신"직장 2025. 5. 17. 00:40
김 CPO는 “품질 및 생산성 향상과 함께 중국 단일 공급망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국내 공장 자동화를 추진했는데 미국발 관세 이슈로 옳은 선택이었다는 확신이 생겼다”고 말했다. 실제 중국에 생산 기지를 가지고 있는 경쟁사들은 100%가 훌쩍 넘는 중국산에 대한 관세에 제3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재 세라젬은 주력 제품인 마스터 V 시리즈는 한국에서, 전통적인 안마의자 형태인 ‘파우제’ 등은 세라젬 중국 법인에서 생산하고 있다. 김 CPO는 “중국 생산이 처음에는 가격적인 면에서 달콤하게 다가오지만 결국 내재화 추진이 정답”이라며 “급변하는 상황에 적극 대응 할 수 있도록 한국 생산과 중국 생산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전략 속 한국 생산 품목의 점진적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경제 5월 7일 내용 일부)
소견) 7일 충남 천안의 세라젬 천안타운 공장 내부로 들어서자 100m 길이의 생산 라인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끝이 안보일 정도로 긴 라인임에도 현장 직원 수는 불과 15명이었다. 생산 라인 앞 뒤에 배치된 대형 로봇 2대와 이송 로봇인 이재기 4대가 중간중간 배치 돼 있었고, 불량 검사 시스템도 자동화 돼 있었다. 조립 및 검사, 포장까지 대부분 과정이 무인화 된 상태로, 직원들은 단순 조립 작업이나 리모콘 동작 검사 등만 수행하고 있었다. 김풍기 세라젬 최고제품책임자(CPO)는 “3년 간 200억 원 이상을 투입해 자동화 라인을 구축하면서 품질 균일화는 물론 생산량이 구형 라인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며 “이를 통해 한국에서 제조를 해도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다는 걸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전력망 작업용 휴머노이드’ 현장 배치…노동력 고령화·안전 문제 대응 (1) 2025.05.20 “1인 1로봇 시대 열린다”… LG의 ‘남다른 포부’에 전 세계 ‘깜짝’ (1) 2025.05.19 "사람보다 낫네요"…AI 품질관리 도입한뒤 '불량률 제로' (1) 2025.05.14 휴머노이드로봇 기술 혁신과 물류 자동화 (1) 2025.05.12 제조 中企 5곳 중 1곳만 스마트공장 도입…AI 활용 0.1% 사실상 전무 (1)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