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 부는 공장 자동화의 봄라이프 2022. 8. 23. 00:32
세계 생산기지 지도가 바뀌고 있다. 흐름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하나는 미·중 갈등으로 인해 중국에 있던 생산기지가 동남아시아나 남미, 동유럽으로 이전하는 흐름이다. 로봇부품은 크게 나누면 외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 그에 따라 동작을 결정하는 제어부(컴퓨터), 그리고 움직임을 구현하는 동작부(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센서는 다른 산업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범용부품이다 보니 로봇시장의 사이즈는 오히려 크지 않다.
액추에이터 시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기계구동식은 일반적으로 출력이 높지만 움직임이 비교적 둔탁하다. 전기구동식은 기계구동식보다는 출력이 약하지만 정밀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한경 글로벌마켓 8월 8일 내용 일부)
소견)산업 안전성과 고용증진을 위해 공장을 자국으로 유치하는 노력이다. 후자는 인건비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선택이다. 단기적으로는 인건비 인플레이션, 장기적으로는 생산인구 감소로 로봇과 자동화 설비에 대한 수요로 이어질 전망이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으로 온 로봇…인간의 적인가 동반자인가 (1) 2022.09.10 “최저임금 인상에 서빙 로봇 문의 3배 급증” (1) 2022.08.28 인구는 줄고 자동화가 온다 (1) 2022.08.20 일본의 최저시급, 전국 평균 961엔으로 인상 (1) 2022.08.19 초고령사회가 코앞인데… 한국엔 국립 노화·장수 연구소가 없다 (1) 2022.07.28